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네트워크/Network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클라이언트-서버, P2P, 하이브리드 모델 비교

by GangDev 2024. 4. 20.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어떻게 통신하며, 어떤 서비스와 통신하는지를 정의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가 설계하는 아키텍처로,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네트워크 내에서 작동하고, 어떻게 데이터를 주고받는지를 결정한다.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중 하나다.

이 아키텍처에서는 모든 디바이스가 중앙 허브인 "서버"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버는 데이터 저장, 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사이버 보안, 접근 제어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작업을 처리한다.

이 모델은 대규모 네트워크, 예를 들어 WAN(Wide Area Network)에서 주로 사용되며, 웹 서버에 접근하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예이다.

 

피어-투-피어 아키텍처 >>

피어-투-피어(P2P) 아키텍처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디바이스가 동등한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내의 작업이 동일하게 분배되며, 한 컴퓨터의 파일을 다른 모든 컴퓨터와 공유할 수 있다.

이 아키텍처는 작은 네트워크 ,예를 들어 지사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집 네트워크도 피어-투-피어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와 유사하지만, 서버가 모든 저장 및 처리 작업을 담당하는 대신, 일 부작업이 클라이언트 머신에 위치한 "엣지 디바이스"에 위임된다.

이는 인터넷 오브 씬스(IoT)와 같은 환경에서 더욱 인기를 얻고 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장단점 >>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관리가 쉽고,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며, 보안이 강화되어 있다. 하지만, 서버가 작동하지 않으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되는 단점이 있다.

* 피어-투-피어 모델: 비용이 적고, 설치가 쉽다. 하지만 관리가 어렵고, 보안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한 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시 >>

전 세계에 다양한 위치를 가진 제조 회사의 경우, 각 위치에는 자체 네트워크가 있으며, 이는 IoT 센서를 사용하여 장비에 연결된다.

이 센서들은 WiFi를 통해 에지 게이트웨이 디바이스나 온 사이트 서버에 연결되며, 이는 공장 내의 사용자 디바이스, 예를 들어 직원 작업 스테이션과 모바일 폰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미니 네트워크는 회사의 WAN에 연결되며, 이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사용한다.

회사의 본사는 중앙 서버를 보유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관리자는 전체 WAN 인프라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네트워크의 물맂거 및 논리적 설계를 포함하며, 이는 데이터 전송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프로토콜, 그리고 미디어의 물리적 및 논리적 설계를 정의한다.

이는 컴퓨터가 어떻게 조직화되고, 어떤 작업이 컴퓨터에 할당되는지를 의미한다.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 고려할 점

* 확장성(Scalability):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미래의 성장과 증가하는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재설계와 중단을 피하기 위해 중요하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성장에 따라 효율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 유연성(Flexibility):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기술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네트워크 분리(network disaggregation)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네트워크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분리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하드웨어와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더 효율적인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한다.

 

* 보안(Security):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효율적인 내부 네트워크 통신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보안 위협에 대비해야 한다.

이는 네트워크 보안 고려사항, 연결성 요구사항, 그리고 서비스 제공 등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디지털 환경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보안 위협에 대비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성능 최적화(Performance Optimization):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효율적인 통신, 안전한 데이터 전송, 그리고 성능 최적화를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와 서비스가 사용자의 연결성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 복잡성 관리(Managing Complexity):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다양한 서비스, 장치, 클라이언트 간의 구조화된 상호작용을 정의한다.

이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레이아웃, 통신 프로토콜, 연결성 패턴을 결정하는 청사진을 제공한다.

이러한 복잡성을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디지털 환경을 관리하고 설계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 물리적 및 논리적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작성:

모든 네트워크 설계 프로젝트는 상세한 물리적 및 논리적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으로 시작해야 한다.

이는 기술적 및 비기술적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 표준화 적용:

복잡성을 줄이고, 오류를 최소화하며, 클라이언트에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표준화를 적용한다.

이는 네트워크 관리와 문제 해결을 간소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고, 표준화된 설계를 사용하여 일관된 구성, 프로토콜, 장치를 사용한다.

이는 오류 줄이기, 상호 운용성 향상, 유지 보수 간소화를 포함한다.

 

* 중복성과 고가용성 보장:

단일 장애점을 피하기 위해 중복 및 탄력있는 인프라를 설계하고, 애플리케이션 중심 인프라(ACI) 정책 기반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여 활성-활성 로드 밸런싱과 탄력성을 보장한다.

중요한 지점에서 중복성을 구현하고, 로드 밸런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리소스 간에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배한다.

 

* 모니터링 및 대역 접근 우선: 네트워크 성능을 사전에 추적하기 위해 강력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을 배치한다.

대역 접근은 잠재적 중단 시 불연속 접근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환경 요소 고려:

네트워크 인프라의 잠재적인 약점으로서의 환경 요소, 특히 전력과 냉방을 고려하여,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가 일관된 작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전력을 공급하고 냉각을 유지한다.

 

* 네트워크 설계 계층 분리:

네트워크를 코어, 분배, 접근 계층으로 나누어 설계하고, 이 계층을 따르는 것이 네트워크 설계를 단순화하고, 성능 향상, 문제 해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증가하는 요구사항을 처리하고, 병목 현상을 피하며, 장애로부터 복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성장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기 위해, 네트워크 아키텍처 설계 시 현재 네트워크 인프라의 상세한 평가를 수행하고, 클라이언트의 특정 요구사항, 성장 예측, 그리고 잠재적 문제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술의 유연성과 적응성을 촉진하는 기술의 채택과, 네트워크 분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발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의 진화는 기술의 발전, 사용자의 요구사항 변화, 그리고 보안 문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인들은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어떻게 발전하고, 어떤 방식으로 변화하는지를 결정한다.

 

기술의 발전 >>

기술의 발전은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더 많은 서비스를 지원하고,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발전해왔다.

이는 IPTV, VoD, 인터넷 기반 비즈니스 지원 애플리케이션,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트렌드에 의해 촉진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디지털 구독자 라인(DSL) 아키텍처에서 시작하여, 서비스의 증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해왔다.

이는 품질 서비스(QoS), 가용성, 신뢰성 등을 고려하며,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단순화된 디자인 아키텍처, 통합된 연결성, 운영 향상 및 개선, 서비스의 독립적인 제공, 확장성 및 효율적인 다중 엣지 서비스 지원 등을 포함하여 발전해왔다.

 

사용자의 요구사항 변화 >>

사용자의 요구사항 변화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에 중요한 요인이다.

예를 들어, 원격 근무자와 BYTOD(Bring Your Own Device) 등의 새로운 연결성 모델이 등장하면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이러한 변화에 맞게 적응해야 했다.

이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발전해야 함을 의미한다.

 

보안 문제 >>

보안 문제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진화에 중요한 요인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사용자의 트래픽을 안전하게 전송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보안을 강화하고, 패킷 드롭과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보안 위협에 대비하고, 효율적인 내부 네트워크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발전해야 한다.

 

네트워크 유연성 관련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네트워크 유연성을 보장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필요하다.

* 클라우드 기반 환경 구현:

클라우드 기반 환경은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온디맨드 리소스 할당, 확장성, 그리고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기술적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 현대적이고 확장 가능한 인프라 설계:

네트워크 인프라는 빠른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다양한 작업을 해결하며,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쉽게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기술 베이스와 인간 요소의 조화:

IT 인프라 유연성(ITIF)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 베이스와 인간 요소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성을 캡처하는 데 필요한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기술 베이스의 유연성 확보:

기술 베이스의 유연성은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다.

이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고급 네트워킹 기술, 더 나은 하드웨어, 그리고 더 많은 컴퓨팅 파워를 추가하여 달성할 수 있다.

디지털 변환과 가속화된 성장은 인프라의 기술적 아키텍처에 부하를 주며, 이는 기술 베이스의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인간 요소의 유연성 확보:

인간 요소의 유연성은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다.

이는 조직 내에서 필요한 기술, 역량, 경험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인력 관리를 포함한다.

또한 조직 내에서 비즈니스와 기술 과정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분리(disaggregation) 구현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리:

네트워크 분리는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는 배포와 관리 과정을 개선하면서 비용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분리된 네트워크 인프라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중앙화된 관리 시스템 사용:

네트워크 관리 플랫폼이나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컨트롤러와 같은 중앙화된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프라의 모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관리하고 감독할 수 있다.

 

* 자동화 도구 활용: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쉽게 프로비저닝하고 설정할 수 있는 자도오하 도구를 사용한다.

이는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 오픈 네트워크 표준 사용:
ONIE(Open Network Install Environment)와 같은 오픈 네트워크 표준을 사용하여 다양한 벤더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통합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선택하고, 최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 네트워크 기능의 분리:

예를 들어, 셀룰러 기지 스테이션을 중앙 유닛(CU), 분산 유닛(DU), 라디오 유닛(RU)으로 분리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 기능을 여러 컴포넌트로 분리하는 것이 분리의 추가적인 수준이다.

IP 네트워킹 세계에서는 제어 플레인과 사용자 플레인의 분리, 패킷 전달 기능과 패브릭 기능의 분리 등이 포함된다.

 

* 화이트 박스 네트워킹 활용:

화이트 박스 네트워킹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운영 체제(NOS) 플랫폼이 네트워킹 실리콘과 통합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추상화를 구현한다.

이는 네트워크 용량을 쉽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벤더의 화이트 박스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 벤더 잠금 해제:

분리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장기간 지배된 벤더로부터 네트워크를 독립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네트워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독립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해주며, 공급망 충격을 더 잘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